2.1 지하 실험실

   사무실 및 지하철역과 연결된 지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하 아트리움은 서울 전역의 공통적인 도시 공간입니다. 일반적으로 모조 암석 파사드를 입힌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공간은 비어 있거나 플라스틱 식물로 채워져 있지만, 종각역 태양의 정원 (Jonggak Solar Garden) [1]은 보다 유기적인 활동 공간으로 재탄생된 사례입니다. 눈여겨볼 점은 종각역이 원격 집광부를 통해 지하 식물들이 자연적인 일광 주기를 경험하도록 하는 자연 상태의 어둠을 조성한다는 것입니다. 이 공간은 세 가지 기능이 있습니다:


2.2 생물다양성 지수 모니터

   우리가 제안하는 포장농방 활용 사례의 핵심 기능은 생물다양성 지수 모니터 (Biodiversity Index Monitor) [2,3,4]로, 이는 생태지역의 다양한 생물종 데이터 수집 기능의 구심점일 뿐 아니라 개체수를 확대하는 중요한 허브가 될 것입니다. 먼저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시민들이 수집한 서식지 정보 변화와 희귀 생물종 등의 이미지, 텍스트, 음향 카탈로그를 만들 수 있습니다. 디지털 화폐로 보상을 제공하여 데이터 수집 활동을 장려하며 [5], 생물다양성 지수 모니터에는 디지털, 물리적 측면을 책임지고 운영하는 두 명의 정규직 직원이 있습니다.


2.3 식물 유전자은행

   첫 번째 직원은 식물 유전자은행 [6]을 담당합니다. 생태지역에 재도입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희귀하거나 생물다양성을 촉진하는 식물종자를 모은 종자은행입니다. 꽃을 끌어들이는 꽃가루부터 유산 관목, 과일 나무 등 다양한 식물종자가 선선한 지하공간에 보관됩니다. 방문객들도 씨앗을 저장하고 모아서 [7] 직접 퍼트릴 수 있습니다.


2.4 수기경재배 정원

   두 번째 직원은 더 많은 씨앗을 수확하기 위해 씨앗을 재배하고 수작업 발아를 돕는 수기경재배 담당입니다. 토양 없이도 묘목을 기르기 위해 영양분이 가득한 미세 미스트를 분사하여, 전통적인 재배법에 비해 훨씬 적은 양의 물로도 식물을 키울 수 있습니다. 또한 생물다양성이 부족한 특정 생태지역에 신생 식물을 옮겨 심을 수도 [8] 있습니다.


참고문헌

[1] Jonggak Solar Garden
[2] Biodiversity
[3] Biodiversity Index
[4] Biodiversity Index
[5] Questa
[6] Field Genebanks
[7] Seed Boutique
[8] Transplanting





  ENG  
  인터뷰